[여의도풍향계] 피켓·퇴장·신사협정…국회 자화상 '대통령 시정연설 풍경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역대 대통령들은 매년 이맘때 국회를 찾아 예산안에 대한 입법부의 협조를 구했습니다.<br /><br />대통령의 시정연설 내용도 관심이었지만, 이를 받아들이는 여야의 모습은 정치 현실을 여과 없이 보여주는 국회의 자화상과 같았습니다.<br /><br />장윤희 기자가 역대 정권의 시정연설 풍경을 이번 주 여의도풍향계에서 돌아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어느덧 11월입니다.<br /><br />매년 이맘때 국회는 내년도 나라 살림 짜기에 바쁜데요.<br /><br />행정부 수반인 대통령은 이 시기에 국회를 찾아가, 정부가 제출한 예산안에 대한 입법부의 협조를 구해왔습니다.<br /><br />이 형식이 내년도 예산안 시정연설(施政演說)입니다.<br /><br />윤석열 대통령도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국회에서 시정연설을 했습니다.<br /><br />집권 첫해에 비해 내용과 형식이 달라져 화제를 모았는데요.<br /><br />통상 여당 대표부터 언급하던 관례를 깨고 민주당 이재명 대표를 먼저 호명했습니다.<br /><br /> "또 함께해 주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님. 이정미 정의당 대표님.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님."<br /><br />지난해에는 '문재인 정부가 방만 재정을 폈다'고 비판했지만, 올해는 전 정부 언급 대신에 '현 정부의 계획'에 방점을 찍었습니다.<br /><br /> "건전재정은 단순히 지출을 줄이는 것만이 아니고, 국민의 혈세를 낭비 없이 적재적소에 효율적으로 쓰는 것입니다."<br /><br />윤 대통령은 퇴장할 때도 야당 의원들을 찾아 먼저 손을 건넸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상당수 야당 의원들은 시선을 돌리거나 굳은 표정을 유지하다 마지못해 악수에 응하며 냉랭한 정국의 단면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대통령의 시정연설을 받아들이는 여야의 모습은 당대 정치 현실을 보여주는 거울과도 같습니다.<br /><br />맨 왼쪽, 지난해 시정연설 모습에서 빈자리가 눈에 띕니다.<br /><br />제1당이 헌정사상 처음으로 보이콧을 했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그 옆 화면은 최근 시정연설 상황으로 자리마다 의원들이 가득 앉아 있습니다.<br /><br />어떻게 된 일일까요.<br /><br />1년 전, 민주당은 윤 대통령의 순방 발언 논란과 당사 압수수색에 항의하는 차원에서 시정연설에 불참했습니다.<br /><br />시정연설 보이콧은 헌정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습니다.<br /><br /> "윤석열 정권 규탄한다! 규탄한다!"<br /><br /> "윤 대통령님 힘내세요!(박수소리)"<br /><br />올해는 여야 '신사협정' 속에 불참도, 고성도 없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민주당이 본회의장 밖은 신사협정이 적용되지 않는다며, 정부 국정운영을 비판하는 피켓을 결국 들긴 했습니다.<br /><br />시정연설 직전 대통령과의 사전환담에 민주당 이재명 대표도 참석했고, 17곳 상임위원장 간담회에 이어 오찬까지 진행됐습니다.<br /><br />그간 행사장에서 마주치더라도 짧은 인사말만 나눴던 윤 대통령과 이 대표가 공식 환담 자리에 함께한 것은 현 정부 들어 처음입니다.<br /><br />그렇다면 전임 대통령들의 국회 시정연설 모습은 어떠했을까요?<br /><br />1988년 국회법이 개정되면서 같은 해 10월 노태우 전 대통령이 첫 시정연설을 했습니다.<br /><br />역대 대통령들은 보통 취임 첫해에 국회를 찾아 시정연설을 하고, 이후에는 국무총리가 대독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어 왔습니다.<br /><br />대통령이 매년 국회를 방문해 시정연설을 하는 것이 관례로 자리 잡은 것은 박근혜 정부 때부터입니다.<br /><br />야당 의원들의 피켓시위 역시 이 시기에 관행이 됐다는 평가입니다.<br /><br />2015년 당시 더불어민주당의 전신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은 각자 책상 앞에 '역사 교과서 국정화 반대' 문구가 적힌 인쇄물을 붙였고, 정의화 당시 국회의장 만류도 통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여야 갈등은 2016년 국정농단 사태가 불거진 직후 더욱 격해졌고, 그해 박 전 대통령은 시정연설에서 깜짝 '개헌 카드'를 꺼내 들며 정국 돌파구 마련을 시도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 "저는 오늘부터 개헌을 주장하는 국민과 국회의 요구를 국정 과제로 받아들이고, 개헌을 위한 실무적인 준비를 해 나가겠습니다."<br /><br />이듬해 집권한 문재인 전 대통령도 시정연설에서 야당 의원들의 피켓 시위를 피하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국민의힘 전신인 자유한국당 의원들은 검은색 상복 차림에 '근조' 리본까지 달며, 문재인 정부의 각종 정책에 항의했습니다.<br /><br /> "의원 여러분께서도 예의와 품격을 갖추어서 시정연설을 경청해 주실 것을 당부드립니다."<br /><br />문 전 대통령은 정권 첫 예산안 의미를 강조했지만, 일부 한국당 의원들은 문 전 대통령 연설 도중 자리에서 일어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1988년 이후 시정연설을 한 대통령은 무려 여덟명이나 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를 받아들이는 국회의 풍경이 크게 진전됐다는 느낌은 없는데요.<br /><br />윤 대통령의 시정연설이 끝나고 예산안 처리는 이제 국회에 공이 넘어왔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에는 법정 시한을 3주 넘게 어기고서야 예산안이 통과됐습니다.<br /><br />민생 문제에서만큼은 손을 잡겠다던 여야, 21대 마지막 정기국회, 이번에는 그 약속을 지킬 수 있을까요.<br /><br />지금까지 여의도풍향계였습니다. (ego@yna.co.kr)<br /><br />#시정연설 #대통령 #국회 #여야 #자화상<br /><br />PD 김효섭<br />AD 김희정<br />송고 장윤희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(끝)<br /><br />